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FC 자르브뤼켄

덤프버전 :



-
파일:1. FC 자르브뤼켄 로고.svg
1. FC 자르브뤼켄
1. FC Saarbrücken
정식 명칭1. Fußball-Club Saarbrücken e.V.
별칭de FC, die Molschder
창단1903년 4월 18일 (121주년)[1]
소속 리그3. 리가 (3. Liga)
연고지자를란트자르브뤼켄
(Saarbrücken, Saarland)
홈구장루트비히스파르크슈타디온 (16,003명 수용)
(Ludwigsparkstadion)
라이벌SV 07 엘버스베르크, FC 08 홈부르크 - 자르 더비
회장파일:독일 국기.svg 하르트무트 오스터만 (Hartmut Ostermann)
단장파일:독일 국기.svg 위르겐 루깅거 (Jürgen Luginger)
감독파일:독일 국기.svg 뤼디거 칠 (Rüdiger Ziehl)
주장파일:독일 국기.svg 마누엘 차이츠 (Manuel Zeitz)
공식 웹사이트파일:1. FC 자르브뤼켄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최근 성적
(2020-21 시즌)
3. 리가 5위
우승 기록
가우리가 베스트마르크 (1부)[A]
(2회)
1942-43, 1943-44
오버리가 남서부 (1부)[A]
(3회)
1945-46, 1951-52, 1960-61
디비지옹 2 (2부)
(1회)
1948-49[2]
2. 분데스리가 (2부)
(2회)
1964-65, 1975-76, 1991-92
3. 리가 (3부)
(2회)
1982-83, 1999-2000
레기오날리가 쥐트베스트 (4부)
(3회)
2009-10, 2017-18, 2019–20
오버리가 쥐트베스트 (5부)
(2회)
1982-83, 2008-09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해리 엘브라흐트 (Harry Ellbracht)
(1976년, From VfL 보훔, 40만 €)
최고 이적료 방출에릭 위날다 (Eric Wynalda)
(1994년, To VfL 보훔, 75만 €)
최다 출장파일:독일 국기.svg 마누엘 차이츠 (Manuel Zeitz) - 267경기 (2008~2011, 2014임대, 2016~ )
최다 득점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삼보 초지 (Sambo Choji) - 87골 (1995~2002, 2004~2005임대)

1. FC 자르브뤼켄 2020-21 시즌 유니폼 킷
파일:Trikot_K1A0463_600x600.png파일:365_5f44cefdf3e6f_600x600.png파일:364_5f44cc959a841_600x600.png파일:393_5fda1c3a72250_600x600.png파일:335_5fda1a246e8b9.png
HOME
AWAY
THIRD
GK 1GK 2
메인 스폰서슬리브 스폰서유니폼 메이커
파일:Victors_Residenz_Hotel.jpg파일:logo_lotto_saarland.png파일:아디다스 로고.svg

1. 개요
2. 역사
2.1. 요약
3. 최근 시즌
3.1. 2017-18 시즌
3.2. 2018-19 시즌
3.3. 2019-20 시즌
3.4. 2020-21 시즌
3.5. 2021-22 시즌
3.6. 2022-23 시즌
3.7. 2023-24 시즌
4. 소속 선수
5. 과거 소속 선수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1. FC 자르브뤼켄(1. FC Saarbrücken)은 1903년에 창단된 독일 자를란트주의 도시 자르브뤼켄의 축구 팀으로, 현재 3. 리가에서 활동하고 있다.


2. 역사[편집]


1903년 투른페라인 말슈타트 (Turnverein Malstatt)라는 체조 협회에서 축구부를 만든것이 이 팀의 시작이다. 1907년에 투른페라인 말슈타트에서 분리되었고, 여러이름을 거쳐 1909년 FV 자르브뤼켄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1919년 당시 1부리그였던 크라이스리가 자르에 편입되었고, 1922-23시즌 2위를 거두었고, 이후 분리된 베치르크스리가 라인자르에서 우승을 거두며 자를란트 지역에서 점점 상위권 클럽으로 도약한다. 그리고 1933년 나치 독일이 리그를 개편하며 가우리가라는 리가를 만들었고 초대 멤버로는 편입되지 못했지만 1935년 가울리가로 승격하게 된다. 이후 1940년 가우리가에서 우승하고, 1943년엔 가우리가에서 우승하고 독일 챔피언십 결승까지 진출했지만 드레스드너 SC에 3대0으로 패해 준우승에 그쳤다.

1943년 이후에 전세가 기울어 자를란트지역 클럽이 가울리가에 참가하지 못하게 되었고, 1945년 전쟁이 끝나고 연합군에 의해 잠시 해산되었다가 현재의 이름인 1. FC 자르브뤼켄으로 창단했다. 전쟁직후에는 새로운 독일 1부리그였던 오베르리가에 참가했지만, 조금 뒤 자를란트주가 프랑스에게 점령당했고 당시 자를란트 주의 축구 클럽들은 프랑스에 편입되기 위해 노력하거나 아예 독립하기위해 노력하게 되는데, 그로인해 자를란트주의 축구 리그인 에렌리가(Ehrenliga)를 만들었지만 1. FC 자르브뤼켄은 FC Sarrebruck이라는 이름으로 프랑스 리그 2에 참가하게 된다. 그리고 프랑스 리그에서 호성적을 보인 자르브뤼켄은 2부리그에서 우승하게 되었는데,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 독일리그에 편입되었던 스트라스부르주의 클럽들의 반발로 인해 리그에서 퇴출당하게 된다.

뛸 리그를 잃게된 자르브뤼켄은 1949-50시즌에 국제 자를란트 컵(International Saarland Cup)이라는 대회를 만들어 오스트리아, 칠레, 덴마크, 프랑스, 스웨덴, 스위스, 유고슬라비아의 클럽들과 친선경기를 주최했고, 이듬해에는 같은 자를란트주 클럽이었던 자를란트 VfB 노인키르헨(Sarlanders VfB Neunkircen)이라는 클럽을 끌어들이며 독일클럽들의 참가를 늘렸다.

그러던 1952년 독일 축구 협회에서 자를란트의 팀들이 독일 리그에 참가할수 있도록 하며 국제 자를란트 컵을 폐지하고 독일리그에 편입되게 된다. 편입된 리그는 당시 1부리그였던 오버리가 쥐트베스트. 참가한 그 시즌 리그에서 우승하며 독일 챔피언십 결승에 진출했지만 VfB 슈투트가르트에게 2대1로 패하며 아쉽게 준우승에 그쳤다. 1955-56 시즌에는 처음 창설된 유러피언컵자르 보호령 대표 클럽으로써 지위를 인정받아 출전하는 영광도 누리게 되었다.

이후 1963년 새로운 1부리그였던 분데스리가가 창설되며 자를란트주 대표로 분데스리가에 편입되었다.[3] 하지만 다른지역 강호들과 붙은 자르브뤼켄은 버티지 못했고, SC 프로이센 뮌스터와 함께 분데스리가 첫시즌에 강등되는 불명예를 안게 되었다. 이후에는 그저 1~3부리그를 오가는 평범한 하위권팀이 되고 말았다. 1984-85 시즌 2. 분데스리가 3위를 기록한 뒤 아르미니아 빌레펠트를 승강플레이오프에서 꺾고 21년만의 승격에 성공했으나 17위로 강등당했고, 1991-92 시즌 2.분데스리가 쥐트에서 우승을 차지하여 6년만에 승격했으나 1992-93 시즌 분데스리가에서 마지막 16경기 무승 및 9연패로 18위에 그쳐 또 한 시즌만에 강등되고 말았다.[4] 게다가 1995년엔 구단이 재정위기를 겪으며 라이선스를 취소당했고 3부리그로 강등된 뒤에는 몇번 2부리그로 복귀했으나, 2007-08시즌엔 5부리그로 강등되었고 이후 두 시즌 연속으로 우승하며 간신히 3부리그로 승격하는 데 성공했지만 2013-14시즌 4부리그로 강등되었다.[5] 2014-15시즌 레기오날리가 쥐트베스트에서 2위를 거두며[6]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상대는 레기오날리가 바이에른 우승팀 FC 뷔르츠부르크 키커스. 1차전은 홈에서 1:0으로 패했고 2차전은 원정에서 1:0으로 이기며 승부차기까지 갔다. 하지만 7번째 키커였던 다니엘 되링거의 킥이 상대 키퍼 로베르트 불니코프스키의 선방에 막히며 승격에 실패했다.

2019-20시즌 3. 리가로 승격하는데 성공했다.


2.1. 요약[편집]


  • 1부/분데스리가: 1963-1964, 1976-1978, 1985-1986, 1992-1993 (5시즌)


3. 최근 시즌[편집]



3.1. 2017-18 시즌[편집]


2017-18시즌 1위를 거두었고,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TSV 1860 뮌헨을 만나게 되었다. 그러나 원정에서 2대2, 홈에서 3대2로 패해 승격에 실패했다.


3.2. 2018-19 시즌[편집]


2018-19시즌엔 리그에서 SV 발트호프 만하임에게 큰 차이로 밀리며 2위에 그쳤다.

한편, 자를란트포칼(지역 포칼)에서 우승하며 2019-20시즌 DFB-포칼 진출권을 획득했다.


3.3. 2019-20 시즌[편집]


2019-20 시즌 방해꾼이 없어지자 혼자 독주중이다. 리그 2위와 승점 8점이 차이날 정도다.

하지만 이후에 살짝 미끄러지며 20라운드 현재 SV 엘퍼스베르크와 승점차이가 4점밖에 나지 않을 정도로 따라잡혔다.

DFB-포칼 1라운드에서는 SSV 얀 레겐스부르크를 꺾었고, 2라운드에선 무려 분데스리가 클럽인 1. FC 쾰른을 상대로 경기 끝나기 직전까지 2대2로 사투를 벌이다 후반 추가시간에 토비아스 예니케가 극장골을 넣으며 16강 진출이라는 쾌거를 이룩했다. 16강에서는 2. 분데스리가카를스루어 SC를 만나 승부차기에서 5-3으로 승리, 8강에 진출했다.

파일:csm_218609-batz_cb652c57e0.jpg
그리고 8강에서 토비아스 예니케의 선제골, 다니엘 바츠 골키퍼의 선방쇼로[7][8] 승부차기까지 끌고갔고, 승부차기에서 8대7로 포르투나 뒤셀도르프를 누르고 역사상 최초로 4강에 진출했다. 심지어 최초로 포칼 4강에 진출한 4부리그 팀이다.[9] 그러나 4강 상대가 바이어 04 레버쿠젠이라는 다소 껄끄러운 상대를 만나게 됐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유럽의 거의 모든 축구가 멈췄고, 몇달 뒤인 2020년 5월 26일 쥐트베스트 축구협회에서 레기오날리가 쥐트베스트의 시즌 종료를 발표하고링크 3. 리가로의 승격이 확정되었다.

2020년 6월 9일 치러진 포칼 4강 바이어 04 레버쿠젠전에선, 10분엔 무사 디아비, 19분엔 루카스 알라리오에게 골을 먹으며 이후 후반전 카림 벨라라비의 골까지 총 3대0으로 패했다.


3.4. 2020-21 시즌[편집]


6년만에 복귀한 3. 리가. 2020년부터 원래 홈구장이었던 루트비히스파르크슈타디온의 리노베이션이 끝나며 헤어만 노이베르거 슈타디온과 작별하게 되었다.

2019-20시즌 자를란트 포칼에서는 FC 08 홈부르크를 만나 3:0으로 대패하였다.

1라운드 이번시즌 함께 승격한 VfB 뤼베크를 만났다. 13분 뤼베크의 파트리크 홉슈가 득점하며 끌려가다 76분 토비아스 예니케가 득점하며 1:1 무승부를 거뒀다. 2라운드 FC 한자 로스토크를 만났다. 제바스티안 야코프의 선제골과 니클라스 시프노스키의 골로 2:0 승리를 거뒀다.

3라운드는 할레셔 FC를 만났다. 모리스 데빌의 멀티골과 야네스 폴레르트의 자책골, 마르쿠스 멘틀러의 추가골까지 이어지며 4:0 대승을 거뒀다. 다른 팀들은 4라운드까지 마쳤으나 코로나 관련 문제로 4라운드 MSV 뒤스부르크전이 뒤로 미뤄졌으며 한경기 덜 치렀음에도 불구하고 2승 1무로 3위에 올라있다.

5라운드 SpVgg 운터하힝전 60분 펠릭스 슈뢰터에게 실점하며 1대0으로 끌려갔으나 79분 마르쿠스 멘틀러의 득점과, 93분 제바스티안 야코프의 골로 짜릿한 2:1 역전승을 거뒀다.

6라운드는 리그 1위를 달리던 TSV 1860 뮌헨을 만나 2대1 승리를 거두며 다른 팀들보다 1경기를 덜 치렀음에도 1위에 올랐다!! 하지만 6라운드 SC 페를다니엘 바츠의 실수로 선제골을 내줬고, 동점골을 넣었으나 다시 역전당하며 2:1로 패했다.

이전에 미뤄졌던 4라운드 뒤스부르크전은 3대2로 승리했다. 이후로도 승격팀 치고는 좋은 성적을 계속해서 보여주며 어느새 2위까지 올라왔다.

14라운드에서 SV 발트호프 만하임을 만나 4대1로 대패하였고, 15라운드에서는 FC 바이에른 뮌헨 II을 만나 2대1로 패하면서 2연패를 당하였다.

16라운드 경기는 뒤로 연기되었고, 17라운드 FC 잉골슈타트 04전 3대3 무승부를 거뒀다. 이로써 4위로 겨울 휴식기를 맞이했다. 하지만 COVID-19의 여파로 휴식기가 단 1주에 불과하다.

18라운드에선 비교적 약팀인 SV 메펜 1912에게 1:0 패배를 당하였다.

연기된 16라운드인 1. FC 마그데부르크전에서 2:1로 승리를 거두었다.

19라운드는 뒤로 연기되었고, 20라운드 꼴찌인 VfB 뤼베크전에서 0:0 무승부를 하였다. 여담으로 이때 폭설로 인해 홈구장인 루트비히스파르크슈타디온이 폐쇄되면서 FSV 프랑크푸르트의 홈구장인 PSD 방크 아레나에서 경기를 치러야 했다.#

21라운드 FC 한자 로스토크전에서 4:2로 깨졌다.

22라운드 할레셔 FC에서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순위는 중위권인 9위까지 떨어진 상태다.

23라운드는 연기되었고, 24라운드 SpVgg 운터하힝전에서 율리안 귄터슈미트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25라운드 TSV 1860 뮌헨전에서 2:1 승리를 거두었고, 26라운드에선 승격팀 SC 페를을 3:1로 이기면서 3연승을 달리고 있다! 심지어 연기되었던 뒤스부르크전에선 4:1로 압살했다.

27라운드 KFC 위어딩겐 05전에선 2:2 무승부를 거두었다. 하지만 중위권까지 떨어진 순위는 4위까지 올라왔다.

연기되었던 19라운드 FSV 츠비카우전에서 2:1로 패배하였다.

28라운드에선 3부 최강팀인 SG 디나모 드레스덴을 만났다. 결과는 1:1 무승부.

29라운드에서 FC 빅토리아 쾰른 1904를 만났는데, 추가시간에서 결승골을 먹히며 2:3으로 패배하였다. 이 경기에서 제바스티안 야코프는 선제골을 넣고 피리 세레모니를 시전하였다.

30라운드 SV 베헨 비스바덴전은 2:2 무승부.

31라운드 튀르크귀쥐 뮌헨전에서는 전반에서만 2골을 넣으면서 2:1로 승리하였다. 하지만 4위와의 격차는 5점이나 나기 때문에 더이상 올라가긴 힘들것으로 보인다.

32라운드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에선 마누엘 차이츠의 골이 있었으나 전후에 다니엘 한슬리크가 멀티골을 때려박으며 2:1로 패배하여 잠시 움츠러들었으나, 33라운드 SV 발트호프 만하임전에서 팀 골리의 멀티골과 니클라스 시프노스키의 추가골, 그리고 후반 19분 미노스 구라스와 교체되어 나온 모리스 데빌이 멀티골을 넣으며 5:0 대승을 거두었다![10]. 심지어 34라운드 FC 바이에른 뮌헨 II 원정에서는 미노스 구라스의 선제골, 니클라스 시프노스키의 멀티골에 제바스티안 야코프가 추가시간에 또 넣으면서 4:0 대승을 또 거두었다! 이로써 홈/원정 최다 점수차 승리 기록을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35라운드 1. FC 마그데부르크전에서 0:3으로 대패하였다. 이제 3경기만 남은 상황이기에 승격은 매우 힘들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FC 잉골슈타트 04와의 36라운드 경기에서 0:0 무승부가 되면서 승격은 불가능해졌다.

2020-21시즌 자를란트 포칼 4강에서 FC 08 홈부르크를 만나 승부차기까지 간 뒤에 6:7로 승리하여 결승전으로 올라갔다.

3. 리가 37라운드 SV 메펜 1912전에서 2:0 승, 최종 라운드 FSV 츠비카우전에서 0:2 패로 16승 11무 11패 66득점 51실점 골득실 +15 승점 59점으로 5위로 시즌을 마쳤다.

2020-21시즌 자를란트 포칼 결승전에서 전 시즌 우승 팀인 SV 07 엘버스베르크을 만나 0:1로 지면서 DFB-포칼 진출권은 날아가버렸다.


3.5. 2021-22 시즌[편집]


-3부리그 7위

팀의 주축 선수였던 니클라스 시프노스키포르투나 뒤셀도르프로 떠났다.

1라운드 상대는 승격팀 TSV 하펠제 원정으로, 전반 19분에 미노스 구라스가 골을 넣으며 1:0으로 승리했다.

7라운드 SV 베헨 비스바덴전에서 전반에만 4골을 먹히며 지고있었지만, 후반에 3골을 넣어 추격하는 무서운 모습을 보여줬다. 하지만 팀은 패배.

총 36전 14승 11무 11패 승점 53점으로 리그 7위를 기록했다. 다음시즌도 3부리그에서 시작한다. 자를란트포칼 8강에서 홈부르크한테 패하며 다음 시즌에도 DFB포칼에는 못가게 되었다.


3.6. 2022-23 시즌[편집]


-3부리그 2위 (진행중)

현재 절반정도 온 17라운드 기준, 17전 9승 6무 2패 승점 33점으로 리그 2위에 위치해 있다.

2부리그 승격권이자 DFB 포칼 진출권이고, 남은 절반을 잘 마무리해 순위를 지키는것이 중요하다.


3.7. 2023-24 시즌[편집]



4. 소속 선수[편집]



파일:1. FC 자르브뤼켄 로고.svg
1. FC 자르브뤼켄 2023-24시즌 스쿼드
[ 펼치기 · 접기 ]

등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1파일:독일 국기.svgGK팀 슈라이버Tim Schreiber[A]
6파일:독일 국기.svgMF파트리크 존트하이머Patrick Sontheimer
7파일:독일 국기.svgDF칼로제로 리주토Calogero Rizzuto
8파일:독일 국기.svgMF마누엘 차이츠Manuel Zeitz주장
9파일:독일 국기.svgFW카이 브륑커Kai Brünker
10파일:독일 국기.svgMF카심 라비히치Kasim Rabihic
11파일:독일 국기.svgFW율리우스 비아다Julius Biada
14파일:모잠비크 국기.svgDF보네 우아페로Boné Uaferro
16파일:독일 국기.svgDF비야르네 퇼케Bjarne Thoelke
17파일:독일 국기.svgDF도미니크 베커Dominik Becker
18파일:독일 국기.svgMF앤디 브로이어Andy Breuer
19파일:독일 국기.svgDF마르셀 가우스Marcel Gaus
20파일:독일 국기.svgFW율리안 귄터슈미트Julian Günther-Schmidt
21파일:독일 국기.svgDF파비오 디미켈레 산체스Fabio Di Mechele Sanchez
22파일:독일 국기.svgFW지몬 슈텔레Simon Stehle
23파일:독일 국기.svgMF팀 치베야Tim Civeja
24파일:독일 국기.svgFW제바스티안 야코프Sebastian Jacob
25파일:프랑스 국기.svgMF아민 나이피Amine Naïfi[B]
29파일:독일 국기.svgDF루카스 뵈더Lukas Boeder
30파일:독일 국기.svgGK팀 파테로크Tim Paterok
31파일:독일 국기.svgMF리하르트 노이데커Richard Neudecker
33파일:독일 국기.svgMF루카 케르버Luca Kerber
34파일:독일 국기.svgDF프레데리크 레크텐발트Frederik Recktenwald
35파일:독일 국기.svgGK핀 코티르바Finn Kotyrba
38파일:독일 국기.svgFW레오 사힌Léo Sahin
39파일:독일 국기.svgFW파트리크 슈미트Patrick Schmidt
구단 정보
감독: 우베 코시나트 / 구장: 루트비히스파르크슈타디온
출처: 트랜스퍼마르크트




5. 과거 소속 선수[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000000,#e5e5e5 ||<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373A3C,#DDD><tablewidth=100%><width=25%><height=80> [[SK 라피트 빈|[[파일:SK 라피트 빈(1935-1968) 로고.gif|height=50]]]][br]
[[SK 라피트 빈|{{{#FFF 라피트 빈}}}]]
[br][[오스트리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0]]]] ||<width=25%> [[RSC 안데를레흐트|[[파일:RSC 안데를레흐트 로고(1933~1981).svg|height=50]]]][br]
[[RSC 안데를레흐트|{{{#FFF 안데를레흐트}}}]]
[br][[벨기에|[[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0]]]] ||<width=25%> [[오르후스 GF|[[파일:오르후스 GF(구) 로고.svg|height=50]]]][br]
[[오르후스 GF|{{{#e41c12 AGF 오르후스}}}]]
[br][[덴마크|[[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 ||<width=25%> [[스타드 드 랭스|[[파일:스타드 드 랭스 올드 로고 (1931-1991).svg|height=50]]]][br]
[[스타드 드 랭스|{{{#FFF 랭스}}}]]
[br][[프랑스 제4공화국|[[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width=20]]]] || ||<height=80> [[MTK 부다페스트 FC|[[파일:뵈뢰시 로보고 로고.svg|height=50]]]][br]
[[MTK 부다페스트 FC|{{{#fff 뵈뢰시 로보고}}}]]
[br][[헝가리 인민 공화국|[[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49-1956).svg|width=20]]]] || [[AC 밀란|[[파일:AC 밀란 로고(1946~1979).svg|height=50]]]][br]
[[AC 밀란|{{{#000 밀란}}}]]
[br][[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 [[PSV 에인트호번|[[파일:PSV 에인트호번(1953-1960) 로고.png|height=50]]]][br]
[[PSV 에인트호번|{{{#FFF PSV 에인트호번}}}]]
[br][[네덜란드|[[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0]]]] || [[그바르디아 바르샤바|[[파일:그바르디아 바르샤바(구) 로고.svg|height=50]]]][br]
[[그바르디아 바르샤바|{{{#033f85 그바르디아 바르샤바}}}]]
[br][[폴란드 인민 공화국|[[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0]]]] || ||<height=80> [[스포르팅 CP|[[파일:스포르팅 CP(1945-2001) 로고.svg|height=50]]]][br]
[[스포르팅 CP|{{{#FFF 스포르팅 CP}}}]]
[br][[포르투갈 제2공화국|[[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0]]]] || [[1. FC 자르브뤼켄|[[파일:1. FC 자르브뤼켄(구) 로고.svg|height=50]]]][br]
[[1. FC 자르브뤼켄|{{{#FFE200 자르브뤼켄}}}]]
[br][[자르 보호령|[[파일:자르 보호령 국기.svg|width=20]]]] || [[히버니언 FC|[[파일:히버니언 FC(구) 로고.svg|height=50]]]][br]
[[히버니언 FC|{{{#FFF 히버니언}}}]]
[br][[스코틀랜드|[[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width=20]]]] || [[레알 마드리드 CF|[[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height=50]]]][br]
[[레알 마드리드 CF|{{{#a84199 R.마드리드}}}]]
[br][[프랑코 정권|[[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width=20]]]] || ||<height=80> [[유르고덴스 IF|[[파일:유르고덴스 IF(구) 로고.svg|height=50]]]][br]
[[유르고덴스 IF|{{{#0568af 유르고덴스}}}]]
[br][[스웨덴|[[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 || [[세르베트 FC|[[파일:세르베트 FC(구) 로고.svg|height=50]]]][br]
[[세르베트 FC|{{{#FFF 세르베트}}}]]
[br][[스위스|[[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0]]]] || [[로트바이스 에센|[[파일:로트바이스 에센 로고.svg|height=50]]]][br]
[[로트바이스 에센|{{{#FFF 로트바이스 에센}}}]]
[br][[서독|[[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 [[FK 파르티잔|[[파일:FK_Partizan_SD.jpg|height=50]]]][br]
[[FK 파르티잔|{{{#FFF 파르티잔}}}]]
[br][[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width=20]]]] || ||<-4> [include(틀:UEFA 챔피언스 리그/관련 문서)]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4 03:05:46에 나무위키 1. FC 자르브뤼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A] A B 분데스리가 출범 이전의 리그로 이 리그에서 우승한뒤 다른 지역 리그에서 우승한 팀과 붙는 방식이었다.[2] 1위로 시즌을 마감했으나 다른 클럽들의 반발로 인해 취소되었다.[3] 하지만 이 편입엔 논란이 많았는데 자르브뤼켄 당시 같은 자를란트주의 클럽이었던 보루시아 노인키르헨, FK 피르마젠스, 보르마티아 보름스 등보다 강하지 않았기 때문. 당시 팀 선발위원중에 자르브뤼켄과 오랜 관계가 있던 헤어만 노이베르거(Hermann Neuberger)라는 사람이 찔러준거란 의견이 있다.[4] 이때 분데스리가 15위로 턱걸이 잔류한 디나모 드레스덴과 단 승점 4점차였다. 마지막 9경기에서 9연패가 아닌 2승1무6패만 했어도 잔류할 수 있었다.[5] 여담으로 이때 SV 07 엘버스베르크도 18위로 강등되며 한시즌만에 자를란트주의 모든 클럽이 강등당했다.[6] 1위는 키커스 오펜바흐.[7] 슈팅 수가 10대36으로 엄청나게 차이났다.[8] 심지어 루벤 헤닝스의 페널티킥도 막았고, 승부차기에서도 4번이나 막았다.[9] 참고로 이번 시즌 포칼에는 도르트문트, 라이프치히, 샬케 등 1부 리그의 강팀들이 이미 줄줄이 탈락한 상황이다. 그런데 무려 4부 리그 팀이 이들을 제치고 마지막 4팀에 합류하게 된 것이다.[10] 이 득실차는 이번 시즌 홈 최다 점수차 승리이다.